씨네꼼

<두개의 문> 김일란, 홍지유 감독을 만나다

- 황진미

용산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두개의 문>이 6월 21일 개봉한다. 영화는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 자료들을 인지적으로 배치하여, 통찰을 끌어낸다. 참사현장을 담은 동영상과 법정자료, 여기에 5명의 인물을 인터뷰한 장면들로 이루어진 이 영화는 관객에게 현장과 법정을 경험시키며 배심원이 되어줄 것을 요청한다. 숯덩이가 된 진실을 한 겹 한 겹 들추며, 역사적 재심청구를 요청하는 영화 <두개의 문>을 만든 두 명의 감독을 만났다.

황진미(이하 황) : 성소수자문제를 주로 다룬 ‘연분홍치마’ 소속이다. 용산참사 다큐멘터리를 만든 계기는?
홍지유(이하 홍) : ‘연분홍치마’는 성적소수문화 환경을 위한 활동가모임으로 5명의 활동가가 9년째 공동작업 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은 우리 활동의 일부일 뿐이다. 용산참사를 다룬 영화를 만든 건 기존 고민의 연속선상에 있다.
김일란(이하 김) : 2009년 1월 용산참사 후 4월에 카페 ‘레아’에 ‘촛불방송국’이 만들어졌다. 간간히 들르다 6월부터 상주하다시피 했다. ‘레아’는 문화예술인들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는 거점이었다. 영화는 우리 힘으로 만든 게 아니라, 용산참사 범국민대책위를 비롯한 수많은 활동가들과 함께 만든 것이다.
황 : 인터넷 방송 칼라TV나 사자후 화면이 그대로 쓰였다. 직접 받은 것인가? 경찰채증영상까지 들어있는데, 변호인에게 제출되었던 자료인가?
김 : 인터넷 방송은 아무조건 없이 선뜻 주셨다. 경찰채증영상은 우리가 공판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다. 영화를 많은 사람들이 봐서 이슈가 되면, 채증영상 쓴 것을 당국이 문제 삼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확한 법조항이 없고, 이미 끝난 사건이라 재판에 영향을 주지도 않기 때문에 처벌이 쉽진 않다고 한다. 싸움이 걸려오면, 공공선을 위해 왜 재판자료가 공개되면 안 되는지, 공개재판의 녹음이 왜 불허되는지 법원의 권위주의에 맞서 싸울 생각이다.

황 : 유족의 입장이 아닌, 경찰의 입장에서 냉철하게 재구성하겠다고 방향을 잡은 이유는?
홍 : 사건 직후 증거는 현장 동영상뿐이었다. 그러나 공판을 보면서 사회가 이 사건을 어떻게 다루고, 해석하는지를 포함한 그 전체가 용산참사란 생각이 들었다. 화염병이 화재의 원인이라지만, 경찰특공대 투입이 화염병 등장 2시간 전에 결정되었고, 현장에 투입된 이들은 건물구조나 인화성물질의 존재도 몰랐다. 검찰이 2심에 가서야 공개한 초기수사기록에는 유증기로 눈이 따가웠다는 경찰 측 진술도 많다. 국과수조차 화재가 원인불상이라 했다. 화염병이 원인인지 단정할 수 없다는 거다. 철거민들에 의해 경찰이 죽었음을 검사가 입증해야하므로 법적인 논리로 당연히 무죄이다. 그런데 유죄가 선고됐다. 법의 논리가 정치 논리와 따로 있지 않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다.
김 : 분노에 지치지 않고, 해소하지도 않고, 분노를 지속하기 위해서 냉철함이 필요했다. 사건을 대하는 정부의 태도를 보면 얼마나 다급했는지 알 수 있다. 2008년 촛불집회를 겪은 정부는 촛불의 재연이 두려웠지만, 동시에 폭력/비폭력, 불법/합법의 논리에 촛불시민들이 흩어지는 것을 보고 약한 고리를 알아차렸다. 주민인 그들을 ‘전철연’으로, 도심테러리스트로 호명하면서 촛불시민들과 분리시키고자 무리한 은폐·조작이 필요했다. 경찰의 법정진술을 통해 그 허구성을 밝히고 싶었다.

황 : 법정장면에 중요한 문답이 오간다. 변호사는 경찰특공대에게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그 지시를 따라야 했냐고 묻고, 경찰서장에게 경찰이 물러나고 협상을 하는 게 맞지 않았냐고 묻는다. 그러나 둘 다 질문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에겐 주권자인 국민의 정체성은 없고, 경찰로서 상명하복의 임무만 있다. <더 리더>의 전범재판 장면이 생각나더라. “다 죽어”란 말이 현장에선 적개심에 찬 말로 들렸지만 나중에 생각하니 그게 아니었단 증언도 인상적이다. 철거민과 말단경찰이 서로를 적개심에 찬 존재로 인식하게끔 생지옥에 몰아넣은 것이다. 정치(Politics)는 없고, 경찰(Police)와 용역(Policia)만 있는 생지옥 말이다.
홍 : 마지막에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 하냔 질문에 순경의 대답은, 잠깐의 침묵이 있고 불법폭력시위가 원인이라고 답한다. 그런 공백 속에 진실이 숨어있다.
황 : 영화는 사건과 법정에 주목하지만, 다 보고 나면 맥거핀이었단 생각이 든다. 국가가 무리한 요구를 어떻게 해결하는가가 핵심이라는 박성훈씨의 말, 그리고 취임직후 무관용 원칙에서 쌍용사태까지 이어진 ‘몹쓸 교훈’을 짚어 준 박진씨의 말이 본질 아닌가. 하지만 용산이 ‘몹쓸 교훈’ 이기만 했던 건 아니다. ‘레아’를 지키며 1년을 싸웠기에, 이후 두리반이나 희망버스 등이 만들어 질 수 있었던 거다. 영화는 지독히 절망적인데, 영화를 만든 연대주체와 834명의 배급위원 명단이 올라가는 엔딩 크레디트에 희망이 숨어있다. 이게 반전이다.
김 : 우리는 이 영화가 현실에서 힘을 발휘하기를 원한다. 사건의 법적 판단은 끝났지만, 이 영화를 많이 보고 국정조사를 비롯한 전면적인 재조사가 이루어져야한다. 누가 이 죽음을 위로하고 상처를 치유할 것인가.

응답 1개

  1. 지나가다말하길

    재판 녹취와 경찰녹취자료 공개가 또 다른 문제가 될 수도 있겠군요. 음…그렇게 되도록, 만명, 아니, 십만, 아니, 백만명이 보게끔 해야 겠죠?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