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실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언어로

- 고손

이제는 좀 사그라들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청춘에 대한 이야기로 서점가에 광풍이 불고 모든 사람이 갑작스럽게 청춘을 논했었습니다.

그 ‘청춘’ 범주 안에 드는 사람이었던 저는, 당시의 분위기가 불편했습니다. 힘내라고 하거나, 이겨내라고 하거나, 괜찮다고 하거나 네 탓이라고 하거나 사회 탓이라고 하거나 뭐라 하건 간에 불편했습니다. 그것은 그 작업의 필요성과는 관계없는 불편함이었습니다.

왜 청춘들의 삶이 청춘이 아닌 그 누군가의 시선 혹은 그 권위에 힘입어서 들을만한 가치가 된 이야기가 된 걸까요. 심지어 대학생들조차 자신들의 삶을, 새삼스럽게 책을 통해 갑자기 자각하고 감동(?)하는 묘한 현상을 보면서 미묘하게 씁쓰름한 기분을 느꼈습니다. 퇴색되고 가라앉아있던 청년들의 삶이, 왜 갑자기 빛을 찾아 청춘이 되었던 건지에 대해 다소 미심쩍은 부분이 없지 않았습니다.

‘자신이 선택한 언어’로 ‘자신을’ 이야기하는 그 과정은 그 목적이나 끝과 상관없이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합니다. 탈시설장애인 스토리텔링 코너가 새롭게 시작된 지 5주가 지났습니다. 저는 이 코너를 통해 불편함이나 미묘함 없이 100%의 무언가로 다가오는 이야기와 만났습니다. 저는 제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 익숙한 사람은 아닙니다만, 그럼에도 이야기가 표면에 나와 지극히 사적임과 동시에 지극히 공적인 것이 되는 모습을 보며 이야기의 매끈함이나 간파의 능력과는 상관없이 진정성이 가지는 설득력을 느끼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