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반시대

장수마을 (주)동네목수 총무 배정학

- 배정학(장수마을 동네목수)

개인적으로 사회적 기업을 떠 올리면 김대중 정부 때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시작된 자활이 생각난다. 자활의 변절의 역사는 논외로 하더라도 말이다. 사회적 기업이 최근 ‘사회적 경제’라는 언어적 발명과 더불어 ‘착한 기업’, ‘착한 생산과 소비’등으로 다른 방식으로 불린다 하더라도 사회적 기업이 지나치게 미화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내용상의 차이가 없기에 불편하다. 지금도 여러 유형의 수백 개의 사회적 기업이 만들어 지고 있지만 그 바닥을 보면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보완으로 공공영역에서 사회복지 정책의 실패에 대한 보완으로 사회적 기업의 현실적 그물이 존재한다. 그런 사회적 기업 중에 스타기업이 만들어 지고 그 스타기업을 정부나 언론이 적극 홍보하고 있지만 그 실상은 공공영역에서의 대행적 역할 안에서이다.

사회적 기업이 기실 또 다른 민간위탁이라는 것을 솔직히 인정하고 들어가야 한다. 즉 사회적 기업에 복무하고 있는 사람들이 사회적 기업이 내세우는 ‘호혜’니 ‘착함’이라는 어둡지 않는 환타지를 벗어나야 한다. 실제로 사회적 기업들은 지역사회에서 자신들만의 리그에 갇히거나, 보조금을 받고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면서 위탁활동 자체보다 조직성장을 우선에 두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보조금에 지나친 의존, 민주적이기 보단 비민주적 운영, 사회적 기업 구성원의 참여저조, 지자체의 지나친 주도성을 막지 못하거나, 경영에 대한 전문성 부족을 드러내고 있다. 보조금 받는 그 자체가 나쁜 게 아니라 사회적 기업 운영을 통해 어떻게 지역사회와 연계하고 사회적 기업 구성원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다른 사회적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자본주의 시장 경제 틀 안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는 총체적 전략이 없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내가 속한 장수마을 (주)동네목수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동네목수가 만들어진 과정은 여타 사회적 기업들이나 마을기업과 특수성이 있다. 2008년 주거권 운동네트 활동가들이 대안개발연구모임을 꾸려서 성북 삼선동 4구역 재개발예정구역이었던 곳을 장수마을이라는 이름을 정하고 주민공동체 활동을 했다. 그러다 2011년 정부나 지자체에 요구만 하지 말고 주민들과 직접 집을 고쳐보자고 행안부 공모를 통해 마을기업인 동네목수를 설립하였다. 초기에는 집수리 경험이나 전문적 경험을 가진 사람이 없어 여러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지만 꾸준히 동네주민들과 접촉면을 넓혀가며 주거환경개선과 주민 일자리 창출을 이루어 가고 있다.

작년 4월에는 주식회사로 전환하여 동네주민들을 주주로 참여케 하여 주민들이 마을기업에 일자리로서뿐만 아니라 소유주로서도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경제적 공동체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는 마을기업이나 사회적 기업의 자립 환경이 좋지 않은데, 주식출자를 통해 사업비와 자립여건을 만들고, 세입자의 주거안정이나 취약계층 집수리 지원을 위한 사업비를 마련하자는 취지가 있었다. 올해는 서울시에서 혁신형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지원을 받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행정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통해 (주)동네목수가 아니라 (주)장수마을 마을기업으로 가기 위한 길은 멀다고 보여 진다. 장수마을이 마포 성미산 같이 주민역량이 어느 정도 있는 곳이 아니고 취약한 곳이라 주민주도형 마을기업으로 성장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집수리만으로는 동네 주민들의 참여가 어려워 마을카페나 공방, 주민사랑방, 공판장 등을 만들고 준비해 주민들의 알자리 창출과 소득 창출이 저변으로 확대되는 마을경제의 순환적 성장이 더디기만 하다. 그동안 달동네 집수리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주)동네목수 중심으로 한 주민공동체 활동이 주민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에 위안을 삼고 있다.

장수마을이 동네목수이고 동네목수가 장수마을인 관계에서 장수마을 전체가 협동조합 형태로 굴러가고 그 힘으로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마을 자체의 주민의 힘으로 굴러갈 수 있는 소박한 바람이 있다. 그간 동네목수는 민관 거버넌스 방식으로 서울시나 성북구와 장수마을의 물리적 재생방안에 대해 협력하고 신경전을 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자칫 관이 주도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속도조절의 필요성이 있었다. 관이 모든 것을 자기들 방식대로 주도해서도 안 돼지만 지원 자체의 필요성도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회적 기업 활동가들이 사회적 기업에 대해 무조건 만들어 보거나 사회적 기업을 하면 좋다는 식으로 접근은 피해야 한다. 이제는 사회적 기업을 통해 무엇을 제대로 할 것인가를 고민해 봤으면 한다. 사회적 기업으로 뭘 할 수 있는가?라는 진지한 근본적 성찰이 시작되어야 한다. 그래야 사회적 기업을 하는 사람들의 경험과 전문성이 국가로 급격히 통합화되고 지배적 경제적 담론으로 만들어지는 걸 피할 수 있다.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에서 기업이나 국가보다 더 우월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꿈을 가져 볼 필요가 있다.

응답 1개

  1. 말하길

    잘 읽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