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에는 도시가스 요금 36,980원을 냈고, 이번 달에는 67,220원을 냈다. 전기요금은 지난달에 16,370원, 이번 달에는 19,490원을 냈다. 보일러는 틀지 않았지만 10월 말이 되면서 이불에 한기가 들어 전기장판을 켜고 잤다. 동생과 내가 전기 장판을 켜고 잔 뒤로 전기 요금이 약 2배 늘었다. 11월부터 슬슬 겨울 준비를 한다고 치면 보일러 동파도 방지하고, 나와 동생, 석류, 세 식구가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약 4달 동안 월 평균 10만원 가량이 든다. 물론 작년에는 혼자 살았고, 지금은 동생과 같이 산다. 하지만 방 두개와 거실이 개별 난방이 되는 게 아니라 보일러를 한 번 틀면 결국 집 전체가 따뜻해지기 때문에 혼자 살때보다 그렇게 많이 쓸 것같지도 않다. 도시가스 요금이 오른 것 같다.
가스나 수도, 전기같은 기반 시설 민영화 문제는 이렇게 요금을 낼 때 선명히 드러난다. 지금 내야하는 10만원이 12만원이 되고, 15만원에서 20~30만원으로 치솟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하다. 지금도 집에서 내복과 수면양말, 수면잠옷을 입고 담요도 잘 두르는데, 집에서 이 이상으로 껴입고 살 수는 없다. 지출도 문제가 되긴 하지만 한집에 사는 우리 가족이 한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는 것과 가스 요금을 매번 저울질 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가 피곤한 일이다. 내 몸이 추운 것 쯤이야 어떻게 해결해본다고 하지만, 동생이 춥다고 하는데 “가스비가 7만원 정도 나왔으니 추워도 좀 참고 아끼자”라고 말하기도 힘들다. 애들이 있는 집에서는 애가 추울까봐 항상 집안을 따뜻하게 해둔다. 고양이가 이불 한가운데로 파고들어 웅크리고 자는 것을 보면 내게 “춥다”고 말하지 않아도 되도록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게 해주고 싶은 마음이다. 겨울에는 석류가 맨 바닥에 엎어져 있으면 번쩍 들어서 방석 위에 올려 놓거나, 전기 장판을 켜놓은 침대위로 옮겨놓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