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걸의 시집

비 / 김수영

- 은유

비 / 김수영

비가 오고 있다
여보
움직이는 비애를 알고 있느냐

명령하고 결의하고
‘평범하게 되려는 일’ 가운데에
해초처럼 움직이는
바람에 나부껴서 밤을 모르고
언제나 새벽만을 향하고 있는
투명한 움직임의 비애를 알고 있느냐

순간이 순간을 죽이는 것이 현대
현대가 현대를 죽이는 ‘종교’
현대의 종교는 ‘출발’에서 죽는 영예
그 누구의 시처럼

그러나 여보
비오는 날의 마음의 그림자를
사랑하라
너의 벽에 비치는 너의 머리를
사랑하라
비가 오고 있다
움직이는 비애여

결의하는 비애
변혁하는 비애……
현대의 자살
그러나 오늘은 비가 너 대신 움직이고 있다
무수한 너의 ‘종교’를 보라

계사 위에 울리는 곡괭이소리
동물의 교향곡
잠을 자면서 머리를 식히는 사색가
— 모든 곳에 너무나 많은 움직임이 있다

여보
비는 움직임을 제(制)하는 결의
움직이는 휴식

여보
그래도 무엇인가가 보이지 않느냐
그래서 비가 오고 있는데!


– 김수영전집1 , 민음사

시골구석에서 사는 아이가 희귀난치병이다. 몇 번 들었어도 이름을 외기 힘든 척수성근위축증. 태어나자마자 사지에 힘이 빠진다. 심폐기능이 약해 호흡이 어렵다. 지역 내 큰 병원에서는 고개를 저었다. 엄마는 억척스레 아이를 들쳐 업고 상경했다. “그래도 큰 병원 가봤다는 소리는 들어야지 원이 없잖아요.” 난 이런 얘길 들을 때 눈을 어디다 두어야할지 모르겠다. 그녀의 투박하고 새까만 문신한 눈썹과 실밥 뜯어진 비즈가 처량하게 매달린 네크라인을 멀뚱멀뚱 훑는다. 수년간 그 먼데서 ‘큰 병원’을 다니며 아이의 숨을 이었다. 없는 사람에게 병원체제로 돌아가는 24시간은 혹독하다. 째깍째깍 초침 따라 병원비가 올라간다. 빈 밭처럼 버려진 집구석에 비가 들이친다. 세끼 먹고 사는 일상성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번뇌는 물적이다. 궁핍하면 험해진다. 아픈 자식을 둔 가난한 부부는 거칠기 짝이 없다. 아파서 가난하고 가난해서 싸우고 싸워서 다시 아프다.

빈자들의 시나리오대로다. 남편은 버럭대다가 집을 나갔다. 이번에 10년만에 병원에 다녀갔단다. 병원비를 좀 보태주려나요? 그런 기대를 접었다는 그녀. 지금까지 혼자 소도시에서 학원에 방 한 칸 얻어 학원버스 운전하며 근근이 살았다. 추운날 일하고 돌아오면 아이가 컴퓨터에 편지를 써놓기도 했다. ‘엄마 추운데 힘들었지?’ 아이의 속이 깊어가고 척추가 굽어갔다. 팔팔 끓는 해물탕의 새우처럼. 점점 안으로. 앉으면 어깨가 기운다. 달처럼. 날마다 조금씩. 여러 군데서 도움을 받았다. 수술을 했다. 아이가 허릴 펴고 누워있다. 나 어릴 적 갖고 놀던 뽀삐인형 같다. 몸통이 작고 사지가 가늘고 배가 봉긋하다. 눈동자가 유순하다. 의사선생님이 아이를 가리키며 “정신연령은 35세”라고 한다. 옆 침상 아주머니가 끼어든다. “이런 애 처음 봐요. 애가 아니라 어른이에요.” 뿔뿔이 갔다. 애 땜에 집안 거덜 났다고 산 사람이라도 살아야한다고 언제까지 돈을 부을 거냐고 시댁이랑 의견충돌이 심했다고 한다. 원래 도와주지 않는 사람들이 제일 말이 많기 마련이다. 보호자 침대에 양반다리 하고 앉은 그녀의 하얀 면양말 위로 까만 한숨이 쏟아진다. “애 아빠가 6형제에 막내에요. 난 아무 말 안 해도 열 세 마디가 돌아서 들어와요.”

순간이 순간을 죽이고 말이 말을 죽이는 현대. 모든 곳에 너무 많은 움직임이 있다. 가만히 있어도 포박당한다. 아이의 소감을 따왔어야 되는데 그러질 못했다. ‘도와준 분들께 감사합니다’는 말을 굳이 육성으로 받아내고 싶지 않았다. 정신 연령 삼십대의 열두살 아이는 원치 않을지도 모른다. 몸과 삶의 전격 대공개를. 만약 나라면 싫겠다. 그런데 선택지가 없다. 받는 순간, 출생부터 성장까지 기막힌 스토리는 이미 내 것이 아니다. 병원에서 삶을 관장한다. 이 부당한 거래. 병원은 선행 확산과 이미지 쇄신을 도모한다. 처음엔 나도 미담취재가 좋았다. 한 사람이라도 마음을 움직여 나눔에 동참한다면 유의미하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갈수록 불편하다. 가장 중요한 것을 빼놓고 말해야하기 때문이다. 이 풍요의 시대에 아픈 사람이 치료받기 위해 가정 파탄이 일어나는 사회에 대한 비판 말이다. 무상의료가 이뤄진다면 병원이 생명을 구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다. 치료에 거액이 드는 희귀난치병은 더욱 그렇다. 그런데 환자복 입은 아이가 감사를 표명해야 하고 그것을 미담으로 기록해야하는 현실은, 비애다.

– 은유

응답 1개

  1. 뺑덕어멈말하길

    미담가화가 사라질 날을 기다리며 추천 꾸욱! 누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