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꼼

인셉션

- 황진미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의 데카르트 역시, 꿈에 대해 사유했다. 그는 감각은 확실한 진리를 보증할 수 없음을 입증하기 위해 꿈을 반례로 들었다. 꿈속에서도 생생한 감각을 느낄 수 있지만, 현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데 꿈과 현실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데카르트는 꿈은 ‘깨기 때문에’ 현실이 아니라고 했다. 그런데 영원히 깨지 않는 꿈에 빠진다면? 혹은 깼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꿈이라면? 또는 꿈속에서 조차 ‘이건 꿈이야’를 느끼고 있는데 그 인식이 명석판명하다면?

이런 질문을 품은 영화 <인셉션>은 타자의 꿈속에 들어가 무의식에 개입하는 과정을 그린다. 남의 꿈에 들어가는 설정이 독창적인 것은 아니다. <드림 스케이프>(1984), <더 셀>(2000), <파프리카>(2007)등에도 나왔으며, <인셉션>의 꿈 공유 장치가 더 정교해졌다고 보기도 힘들다. <인셉션>의 뛰어난 점은 꿈속의 꿈, 긴 시간으로 느껴진 잠깐의 꿈, 꿈을 통해 굳어진 확신, 꿈이라는 것을 알아채기, 자는 동안의 신체자극이 꿈에 반영되는 방식 등 우리가 경험하는 꿈 현상을 음미하며 규칙을 세우고, 그 규칙을 토대로 꿈의 세계를 중층적으로 축조해낸데 있다. 이는 감독의 데뷔작 <메멘토>의 뛰어난 점이 단기기억상실이라는 소재에 있는 게 아니라, 자신이 만든 규칙을 충실하게 따르며 내적 완결성을 추구한데 있는 것과 같다. 그런데 <인셉션>이 정교한 플롯과 놀라운 시각효과를 통해 재현하는 ‘꿈의 공유’가 뜻하는 게 뭘까? SF적 장치가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의 꿈에 들어가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 존재한다. 첫째는 영화이고, 둘째는 정신분석이다.

1. ‘꿈속의 꿈’이라는 메타성은 영화로 수렴되고

<인셉션>의 백미는 ‘꿈속의 꿈’이라는 구조이다. 코브(디카프리오)는 사이토로부터 경쟁사 후계자인 피셔의 꿈속에 침투해 상속받은 회사를 쪼개겠다는 생각을 무의식에 심을 것을 의뢰받는다. 코브의 드림팀은 피셔가 탄 비행기에서 함께 잠들어 피셔의 꿈속에 들어간다. 1차 꿈속에서 피셔는 그들에게 납치된다. 그러나 피셔의 무의식이 방어기제를 작동하고 이게 꿈이 아닐까 의심이 생긴다.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해 1차 꿈속의 일당 일부가 피셔와 함께 2차 꿈속으로 들어간다. 2차 꿈속에서 코브는 피셔에게 이것은 꿈이 맞고, 당신 꿈이 해킹당하고 있다며 피셔를 속여 3차 꿈속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1차 꿈속의 잠든 일행이 탄 자동차가 추락하는 10초 동안은 2차 꿈속의 호텔 로비가 뒤집히는 3분간이고, 이는 3차 꿈속의 설산에서 벌이는 1시간이다. 서로 다른 속도로 시간이 흐르는 우주가 무한소의 형태로 중첩되어 있다. 영화는 결국 4차 꿈속까지 들어가며, 영화 속 현실로 돌아온 뒤에도 그것조차 꿈일 수 있다는 암시를 남긴다. 이처럼 무한히 중첩되는 구조는 결국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소급되며, 결국 메타적 과정을 거쳐 영화라는 ‘꿈의 공장’을 지칭한다. 서로 다른 속도의 시간이 흐르는 우주나 무한소의 개념은 영화의 구조와 매우 닮았다. 영화는 촬영과 편집을 통해 시간을 응축․확장시키며, 스크린이라는 한정된 평면위에 무한의 공간을 펼치지 않는가? 코브는 꿈의 설계자에게 현실의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공간을 창조하는 작업의 쾌감을 말하고, 동료들은 ‘기술은 좋지만 상상력이 없다’며 힐난한다. 영화 만드는 현장에서 자주 듣는 말 아닌가? 깜깜한 영화관에 앉아 영화를 보는 행위는 누군가 설계한 꿈을 꾸며, 그들이 주입하려는 메시지를 나의 무의식 깊숙한 곳에 심도록 허용하는 행위와 닮았다.

2. 함께 무의식의 세계를 탐사하는 정신분석과정

프로이트가 착목했듯 꿈은 무의식의 극장이요, 누군가의 꿈에 들어가 무의식에 개입하는 것은 정신분석과정과 매우 흡사하다. ‘꿈의 공유’라는 SF적 소재와 중층적 구조를 거둬내면, <인셉션>은 분석의와 의뢰자가 빚어내는 한편의 정신분석보고서이다. 첫 장면에서 해변의 코브가 만나는 보스는 늙은 사이토이다. 이 장면은 영화의 뒷부분에서 코브를 재회하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두번째 시퀀스는 코브가 사이토의 꿈을 해킹한 것이었다. 사이토는 영화 중반을 차지하는 피셔의 꿈 해킹 작업에도 (“짐만 되는 관광객”으로) 함께 나온다. 사이토가 의뢰자에 불과하다면 왜 이리 중요하게 배치된 걸까? 영화는 사이토가 코브의 능력을 시험한 것이며, 의뢰자로서 확인하기 위함이란 궁색한 알리바이를 대고 있지만, 비밀은 사이토가 곧 피셔이기 때문이다. 의뢰자는 중년이 되어 아버지 회사를 물려받게 된 사이토이다. 그는 일생 아버지 그늘에 있었던 자괴감과 아버지가 원하는 아들이 돼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렸다. 그의 내면적 자아는 아버지와 세상에 대한 두려움이 가득한 청년(피셔)이다. 이제 아버지의 죽음을 앞두고 아버지에 대한 복수로 회사를 조각낼 것인지, 아버지의 충실한 아들로 기업을 이어갈 것인지 갈등하며, 분석의(코브)에게 온 왔다. 의뢰자는 자신(피셔)의 무의식 세계를 분석의와 함께 탐사하는 정신분석을 통해, 아버지를 극복 못한 청년의 유약함을 지닌 자신에게 아버지에게 맞서는 마음을 불어넣어 달라고 의뢰하는 것이다.

코 브는 이 의뢰를 성공하여 자신을 수배자로 만든 아내 살인죄로부터 벗어나 집에 돌아가고 싶다. 즉 아내의 죽음으로부터 죄의식을 털고 일상의 안식을 찾고 싶다. 그는 정신분석과정에서 수시로 출몰하는 아내 때문에 업무를 수행하기 힘들다. 아버지로부터 소개받은 꿈의 설계자가 의뢰자의 무의식을 탐사하는 코브와 동행하며 그의 아내를 본다. 그녀는 다른 동료들과 달리 코브에게 아내의 일을 털어놓게 한다. 그녀는 코브가 분석의로서 정신분석을 수행할 때 부딪히는 자기 무의식 문제를 덜기 위해 상담 받는 코브의 분석의로 해독된다.

그는 아내에게 죄책감이 있다. 아내의 자살에 책임을 느끼는데, 아내의 무의식 깊은 곳에 죽음충동을 심었기 때문이다. 코브는 아내와 꿈의 공유를 통해 낙원의 시간을 보냈고, 꿈에서 깨지 않으려는 아내를 현실로 되돌아오게 하기위해 동반자살의 욕망을 아내의 무의식에 심었는데, 아내는 현실로 돌아온 뒤에도 여전히 죽음충동으로 동반자살을 원했고, 결국 자살하면서 남편에게 살인혐의를 씌웠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가 4차 꿈속에서 만난 아내는 그에게 묻는다. “회사와 경찰에게 쫓기고 있다고 생각하지? 그게 과연 현실일까?” 회사의 존재는 한 번도 드러난 적이 없고, 경찰이 쫓는다는 것도 그의 말일 뿐이다. 마지막 공항을 빠져나가는 장면은 예상외로 너무 평온하지 않은가? 흔히 누군가로 부터 쫓긴다는 것은 편집증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영화가 상정한 ‘꿈의 공유’라는 SF적장치를 환상으로 돌리고, 둘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재구성해보자. 둘이 공유했다는 낙원의 꿈은 현실에서 둘이 꾸었던 신혼의 단꿈이다. 하지만 남편은 사랑이 식었고, 아내에게 꿈에서 깨자고 한다. 그녀는 백년해로를 맹세한 청혼의 말을 되뇌며 신혼의 단꿈에 더 머물기를 원한다. 식어버린 사랑이라는 현실을 직면케 하는 어떤 폭력적 조치(상징적 죽음)를 통해 아내도 단꿈에서 깨어났지만, 극심한 우울증으로 결혼기념일에 자살한다. 그는 아내의 죽음에 책임을 느끼면서 동시에 아내가 끈덕지게 들러붙는 원귀 같다고 원망한다. 그래서 죄책감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상태를 그녀의 계략으로 살인죄를 쓰고 쫓기게 된 것으로 사고한다.

영화의 마지막, 의뢰자는 아버지에 대한 복수를 행하면서도 그것이 아버지의 뜻이었다고 환치시키며 죄의식을 무화시킨다. 그런데 코브가 아내에게 우리는 꿈속에서 백년해로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느냐는 (신혼에 충분히 사랑하지 않았냐는) 변명과 함께 죄책감을 떨치고 나서(수배가 풀리고 나서), 공항에서 그를 맞아 집에 데려다 준 것은 아버지였다. 책상에는 이것이 코브의 꿈임을 암시하는 팽이가 돌아간다. 이것이 코브의 꿈이라면, 설계자는 아버지일 것이다. 그에게 ‘꿈의 공유’를 가르친 것도 아버지이고, 설계자를 소개한 것도 아버지이다. 코브와 아버지가 실제 어떤 관계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지나치게 믿음직스러운 아버지와 아버지에 의지해 자신의 문제에서 벗어나는 아들의 모습은 뒤틀린 부자관계의 음각처럼 보인다. 피셔가 아버지와의 관계를 무의식 차원에서 윤색하는 걸 영화 내내 보지 않았던가?

영화는 현란함 속에서 가르침을 준다. 현실임이 분명하다고 느끼는 나의 지각 속에는 (영화보기 같은 장치를 통한) 타자의 이데올로기와 (꿈 작업, 방어기전, 신경증 같은 장치를 통한) 내 무의식이 펼치는 환상이 존재한다. 생각하는 내가 나인지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