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실에서

어떤 가설(假說)의 가설(假設)

- 윤여일(수유너머R)

이번호는 ‘텐트연극, 현실을 허구화하다’이다. 그 주인공은 사쿠라이 다이조(桜井大造)다. 그는 일본과 타이완, 중국, 한국 등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는 일본의 연극인이다. 그는 1973년부터 1980년까지 극단 ‘곡마관’(曲馬館)으로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며 텐트연극을 했다. 해산 후에는 ‘바람의 여단(風の旅團)’을 창단해 10년간 전국 공연을 다녔고, 1994년 다시 ‘야전의 달(野戰の月)’을 꾸렸다. 1999년에 대만에서 「EXODUS出核害記」를 공연하면서 이후 일본과 타이완을 오가며 작업을 하고 있다. 2002년부터는 극단 이름을 ‘야전의 달=해필자(野戰の月=海筆子)’로 바꾸어 활동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올 여름의 베이징 공연을 밀착취재하여 사쿠라이의 텐트연극을 소개한다.

사쿠라이 다이조는 ‘텐트연극’을 한다. 통상 한 편의 연극은 극장에서 반복 상연되지만, 그는 한 편의 연극을 공연하기 위해 한 장소에 텐트를 세우고, 한 차례의 공연이 끝나면 텐트를 걷고 떠난다. 그렇게 매해 새로운 연극을 만들어 사용하고 버린다. 두 번 다시 그 연기를 하지 않기 위해 수개월을 준비해온 정열로 단 한 번의 연기를 한다. 뱀이 허물을 벗듯이. 어쩌면 허물도 뱀도 아닌 변신만이 ‘텐트연극’의 본질인지도 모른다.

사쿠라이에게 텐트는 극장의 대용물이 아니다. 그는 텐트연극에 관한 가설을 가지고 있다. 그는 텐트의 얇은 천 한 장으로 현실공간의 일부를 잘라내 거기에 함몰을 만든다. 그 함몰 속의 공연으로 바깥 현실을 허구화한다. 텐트 속에서 시간의 서열은 뒤바뀌고, 공간은 엿가락처럼 늘어나거나 뒤틀리고, 가로였던 세계는 세로로 세워진다. 기성의 논리가 전복된다. 이게 텐트 연극에 관한 그의 가설이다. 그래서 그의 연극은 부조리극이다. 그러나 그가 텐트 속에서 부조리한 상황을 만들어내는 까닭은 텐트의 바깥 세계, 소비자본주의야말로 인간의 결핍을 소비로 메우는 부조리이기 때문이다. 그는 텐트를 세워 부조리를 두고 소비자본주의와 쟁탈전을 벌인다. 그러한 가설(假說)의 가설(假設)이 텐트연극인 것이다.

그리고 사쿠라이의 텐트 속에는 동아시아의 굴절된 시간이 감돈다. 30년 가까운 텐트연극의 인생에서 그는 전반부의 20년 동안 조선 혹은 동아시아의 시간을 텐트를 매개하여 일본 사회 안으로 들이고자 했다. 말소되어가는 식민지 조선 그리고 동아시아 냉전의 기억을 일본 사회로 주입하는 것이 그에게는 ‘반일(反日)’의 행동이었다.

1980년 그는 10년간 전국에서 순회공연을 해온 극단 ‘곡마관’을 해체하고 1982년 ‘바람의 여단’을 결성하였다. ‘바람의 여단’의 첫 작품은 관동대지진 시기 살해당해 아라카와(荒川)를 가득 메우고 있는 조선인의 뼈를 파내는 것이었다. 다시 그는 1994년에 ‘야전의 달’을 꾸렸다. 1999년에는 <엑소더스(EXODUS, 出核害記)>라는 연극을 타이완에서 공연하며 거점을 타이완으로 넓혔다. 그 연극은 낙생원(樂生院)이라는 타이완의 한센병 요양소 해체를 반대하는 운동이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2008년에는 베이징에서 공연을 성사시켰다. 타이완에서 공연한 <변환·부스럼딱지성(変幻·カサブタ城)>을 반년 뒤 베이징에서 재상연했다. 같은 연극을 반복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타이완과 중국 사이의 분단선을 두고 반복한다면 그 행위는 도전일 수밖에 없었다.

예전에 술자리에서 그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언젠가 극단과 함께 북한에 가서 텐트를 세우겠다고. 나는 북한을 그런 식으로 내 미래의 작업과 결부하여 생각해본 일이 없다. 그는 동아시아적 인간이다. 그는 복잡하게 깔린 동아시아의 분단선을 넘어 그곳의 흙 위에 텐트를 세운다. 그의 텐트 안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뒤틀린 역사관계, 상이한 시간성이 형상화된다. 거기에는 근대 시민의 고민이 아니라 동아시아 근대에서 식민화된 존재, 주변화된 존재, 패배한 존재, 시민권을 상실한 존재의 저항과 외침이 담긴다. 그는 내게 어떤 동아시아다.

그리고 올해, 그는 다시 베이징에서 텐트연극을 성사시켰다. 이번 특집에서는 그 소중한 사건을 기록하였다. 7월 30일에서 8월 2일 사흘간 베이징의 피춘(皮村)에서 이어진 텐트연극을 노규호가 취재하였다. 「텐트연극, 그 현장을 다녀오다」에는 그 현장감이 담겨있다. 그리고 고헌은 「텐트연극,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통해 연극인의 입장에서 텐트연극을 해석하였다. 홍진씨는 「장펑 블루스 帐蓬 BLUSE」에서 실감 어린 감상을 담아주었다. 아울러 쑨거의 「사쿠라이 다이조와 텐트연극」을 보면 사쿠라이의 텐트연극이 지니는 ‘예술의 정치성’이 전해질 것이다. 그리고 수유너머의 북커진 『R3』에는 사쿠라이와의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제목은 「‘정치의 원점’으로서의 텐트」이다. 그는 한국에서 ‘정치의 원점’을 시도하려고 9월 광주에 온다고 들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