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글라바 코리아

8일 만에 만든 음반

- 소모뚜

2003년 11월 추운 겨울.
서울시 성공회 성당 앞 미등록 이주노동자 강제추방 반대와 전면 합법화 요구 농성장.
버마, 네팔, 방글라데시,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중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온
이주노동자들과 이주민지원 단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 오래된 친구들을 내쫓지 말라고
소리 높였다.

나도 공장에서 나와 농성장에 참여했다.
우리의 주장은 우리는 한국경제의 필요한 밑바탕 역할로 최선을 다해 성실히 일해 왔고
97년도 외환위기 때도 한국을 떠나가지 않았고 한국 경제 회복을 위해 함께 노력해왔고
2002년도 월드컵 때도 한국 축구팀을 무조건 힘찬 응원했다.
슬플 때나 기쁠 때 함께 했었던 진정한 친구 역할을 했었는데
이렇게 정을 끊고 눈을 감아 무조건 내쫓는 것보다
함께 일을 할 수 있는 미등록이주노동자 전면 합법화, 현대판 노예제도인 산업연수제도를 폐쇄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노동허가제를 요구한 것이었다.

농성이 시작하자 우리들이 외친 구호들은
“스톱크랙다운(강제 추방 증단)
노동권리 보장.
우리는 노동자
노동자는 하나다.”
이었다.

우리는 농성장 내에서도 밖에서도 그 구호들을 수십 번 외쳤다.
나는 그러다가 지루하겠다고 생각이 들어 구호들을 노래로 만들어 줬다.
노래의 제목은 “우리가 원하는 것”이였다.
노래가 신나고 쉽기 때문에 농성 동안 우리는 여러 번 즐겁게 부르면서 우리의 요구를 외쳤다.
요즘도 서울지역을 포함해 지방 이주민 인권 쟁취 요구 집회 때도 이 노래를 꾸준히 틀러 부르고 있다.
얼마 전 아시아 지역 NGO활동가들이 한국에 왔을 때도 이 노래를 좋아해서 열심히 외워 공연도 해 주셨다.
노래가 신나다는 것 보다 노랫말이 아주 기본적이고 단순한 노동자의 권리요구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나는 농성을 함께 하는 음악인 이주민들과 함께 “스톱크랙다운”밴드를 결성해
우리들의 이야기가 담긴 노래들을 계속 만들어서 농성장 내 이주민들에게 희망을 향한 힘을 함께 만들었다.
우리는 우리의 목소리가 담긴 노래들을 농성장 주말 문화제 때 시민 단체들의 행사 때 공연을 했었다.

농성 중 어느 날.
농성단 대표가 우리밴드에게 하루 안에 녹음을 다해서 음반을 낼 수 있겠냐고 물었다.
음반을 하루 안에 녹음을 다하자는 것이 음악 하는 나에게는 반가운 일은 아니다.
마음에 들 때 까지 녹음을 꼼꼼히 해서 질 좋은 음반을 내고 싶은 게 음악인들의 욕심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우리의 음악적 욕심이 우선이 아니라
우리의 음반을 통해 우리들의 세련 된 문화적 이주운동에서 얻은 효율이다.
그래서 우리는 하루 안에 녹음을 다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그런데 우리에게 무료로 녹음해줄 스튜디오는 아주 바빠 꽉 찬 일정 속에서 하루를 비워 주겠다고 하는데
그 날이 지금부터 8일째 날 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우리는 7일 동안 음반에 들어 갈 노래들을 작곡, 작사와 연습까지 다 완성해서
8일째 날에 녹음을 하루 안에 다 끝내야 한다는 것이었다.
불가능한 꿈이지만 현실주의자인 우리는 우리가 해낼 수 있을지를 확인해 봤다.

모든 멤버들이 가능하다. 해보자고 자신 있게 답하기 때문에 우리는 한 이주민지원센터 지하 쉼터에 있는 작은 방에 드럼과 각종 음향들을 이동해 7일 동안 아침부터 새벽까지 작곡, 작사와 연습을 미친 듯이 했었다. 나는 대부분 노래들을 작곡을 해야 하기 때문에 걱정과 불안, 책임을 아주 무겁게 들어 노력했었다. 몰론 한국어를 아주 잘 하는 미누형(보컬)이 작사를 해주고 맴버들의 적극적 의견들이 있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

8일째 날.
우리는 녹음실로 가는 길에서도 계속 노래가사를 수정했다.
우리는 그날 오전10시부터 새벽1시 까지 점심과 저녁 밥 먹는 시간 외에 쉬지 않고 녹음을 했었다.
녹음이 끝난 새벽1시.
원래 기타 주자인 내가 드럼을 하루 종일 치게 되어 허리가 심하게 아팠지만
특별한 사고가 없이 녹음이 잘 끝내게 되어 아주 기뻤다.
하루 종인 쉬지도 않고 녹음을 해서 힘이 들어도 힘든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던
밴드 멤버들이 그리 당당할 수 있었다는 이유는 우리들의 희망이 담긴 노래들에서 얻은 힘 이였다.
녹음이 끝나자마자 스튜디오 내 모든 엔지니어분들이 모여서 믹싱을 급히 했었다.
새벽 3시에 드디어 이주민들의 이야기를 담긴 첫 음반이 탄생했다.
그 음반의 이름은 “친구여 잘 가시오”이였다.
강제추방 공포 때문에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게 된 이주민들에게 잘 가시라는 뜻이었고
세월이 흘러가도 그들의 꿈과 희망을 위해 헌신한 것을 잊지 말라는 이유로 음반의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

여기서 더 감동적인 이야기 하나가 있었다.
바로 녹음실 주인의 이야기다.
그날이 아내 생일 이였는데 우리의 음반을 위해 아내와 함께 보낼 시간을 포기하셨다.
하지만 그는 아내에게 남들과 다른 아주 소중한 선물을 주셨다.
그것이 이주민들의 목소리가 담긴 차별 없는 평등한 사회를 희망하는 음반을 함께 만든 시간이었다.

응답 1개

  1. 지나가다말하길

    아, 정말 감동적인 글입니다. ‘친구여 잘 가시게’ 제목만 들어도 울컥해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