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Issues
- 동시대반시대
- 수유칼럼
- 돌에 새긴 이야기
- 선생님 책꽂이
- 씨네꼼
- 올드걸의 시집
- 달팽이 공방 통신
- 백수 건강법
- 매이데이
- 모기가 만난 사람들
- 여행을 사고하다
- 영장찢고 하이킥
- 여강만필
- 밍글라바 코리아
- 혁명과 정치의 사유
- 정경미의 시경읽기
- 고봉준의 언더라인
- 임종진의 사진공감
- 사상가 특집
- 동아시아 지금
- 나만의 선곡표
- 청년노동잔혹사
- 데모크라시나우 리뷰
- 무늬의 세상그리기
- 오후의 카페
- J의 이미지올로기
- 20대 무한독전
- 풀여치와 떠난 여행
- 역사 뒤, 남은 사람들
- 하버지가 쓰는 편지
- 행복한 사진관
- AA의 일드보기
- 미국 역사의 뒷골목
- 김환의 그림 한 장
- 활보일기
- 청년필독靑年筆毒
- 앎과 향연
- 열두가지 궁상이몽
- 글쓰기 최전선
- 탈시설장애인 스토리텔링
- 이솔의 공공공(公共空)
- 그들 각자의 영화觀
- 10대☆哭
- BIYN 청년 활동가 인터뷰
- 우리 같은 사람들
- 봄봄이 사는 마을
- LA NOTE ROUGE (레드 노트)
- 묘한 일기
- 틴에이지의 사상
- 과학 대 과학
- 밀양: 끝나지 않은 싸움
- 참꼰대와 미래세대
- 남방큰돌고래의 노래
- Erectile Dysfunction
- Anti Depressants
- Gastrointestinal
- Allergy
- Other
- Womens Health
- Herbal
- Blood Pressure
- Cholesterol
- Hair Loss
- Brands
- Cardiovascular
- Anti Inflammatory
-
동시대반시대
New Releases
-
에 이어, 인터뷰 속편을 싣는다. 인터뷰 전편의 소제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사건의 경위, 리츠메이칸의 ‘견해서’의 문제점, 계속 심화되는 인종주의의 시대, 역전된 권력관계, 법에 대한 싸움, 법을 통한 싸움”이다.
"니가 원한대로 다 했어. 그런데도 헤어진다고?” 지난 181호 글의 제목이다. 확실히, 우리는 천천히 헤어지고 있다. 한때 불나게 카톡을 하고, 모여서 술 먹던 관성에서 벗어나 각자의 새로운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이런 시기에 지난 181호 ‘편집자의 말’ 제목은 사뭇 섬뜩하게 다가온다. “잘못된 낙원은 불타버려야 했죠.” 과연 우리의 ‘낙원’은 어떤 것이었을까?
농사 일지, 지금 우백당은… (1)그동안 가끔씩이었지만 에 농사 소식이라며 농사 일지를 전해 왔습니다. 서툰 농사꾼이 솜씨도 없는 농삿일을 하면서 별다른 일도 아닌 하찮은 꺼리들이란 생각에 늘 마음이 가볍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별 볼 일 없는 산중에서 지내는 산촌 초부로써 이런 소식이라도 전하는 것이 도리라며 무릅쓰고 했던 일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여러 생각들이 겹쳐 떠오릅니다.-
그리고 나는 지금 뉴욕의 작은 시립 도서관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 동아시아 연구소에서 1년간 체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도 일본도 아닌 곳으로 왔지만 친구 y에게 생긴 (그것이 나였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그(런) 일’이, 뉴욕과는 전혀 다른 시공간에 나를 딱 붙여 놓고 있다. 따라서 나는 뉴욕에 있지만, 아직/이미 뉴욕에 있지 않다.
-
그동안 가끔씩이었지만 <위클리 수유너머>에 농사 소식이라며 농사 일지를 전해 왔습니다. 서툰 농사꾼이 솜씨도 없는 농삿일을 하면서 별다른 일도 아닌 하찮은 꺼리들이란 생각에 늘 마음이 가볍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별 볼 일 없는 산중에서 지내는 산촌 초부로써 이런 소식이라도 전하는 것이 도리라며 무릅쓰고 했던 일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여러 생각들이 겹쳐 떠오릅니다. 아마도 우리 <위클리 수유너머>가 이번 182호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접게 …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