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Releases

  • 달군 메인
    작년 2012년 8월 6일, 행정대집행이 예고된 두물머리에는 불복종전야의 텐트촌이 등장했다. 도심의 더위 따위는 찾아볼 수 없는 한강 상류는 두물머리의 밤을 지새우려 몰려온 사람들로 가득했다. 다음 날 새벽달을 보며 텐트촌 곁에서 미사를 드린 후, 뜨는 해와 함께 양손에 부들과 채소를 들고 국토해양부를 맞이하는 행진을 했다. 대오의 사이사이 하늘 높이 솟은 만장에는 "농사천하지대본", "공사말고농사" 등이 적혀 있었다.
  • 07375686
    윌슨의 『지구의 정복자』를 꼬박 이틀에 걸쳐 읽었다. 대체로 짜증 나고 지루했다(그중 재미있었던 것은 역시나 그의 전공 분야인 사회성 곤충들의 생활사를 다룬 15, 16장이었다). 살다 보면 이런 책도 읽게 되는 것이지만...... 어쨌거나 그의 책을 소재 삼아 뜨거운 문제들을 함께 생각해보자.
  • ‘한겨레21’의 이번호(986호, 2013.11.18) 표지에는 박근혜 씨가 한복 입은 모습과 함께 ‘L’état c’est moi(짐이 곧 국가다)라는 글씨가 겹쳐져 크게 인쇄되어 있다. 이른바 ‘봉건군주(적 통치방식)의 도래’를 알리는 도발적 ‘카피라이팅’이다. 내게 봉건군주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이를테면 교수대에 매달린 반역자와 시민들과 같은 죽음의 모습들이다.
  • 김융희 in 여강만필 2013-12-17
    자정이 임박해서야 마지막 연습을 끝내고 헐떡거리며 집에 돌아오는 길이다. 원고 독촉을 비롯한 여러 메시지가 와 있었다. 그동안 밀린 일들이 첩첩이지만, 지금은 모두가 관심도 의욕도 없다. 아직도 머리에선 ‘다이네자우버빈덴비데 바스디모데... 디젠쿠스데간젠밸트..... 블위더위베음스터넨젤트무스아인.. 바테르보넨.. 멘센알레 멘센알레....
  • 2
    본명보다 '김슷캇'이라는 활동명이 더 유명한 사람, 어쩌면 활동가로서의 자신보다 트위터 계정이 더 유명할 지도 모르겠다. 사회당 당직자로 일하던 2009년에 오타쿠들의 정치적 주체화를 말하며 사회당 덕후위원회를 만들어 화제가 되었고, 이후 '혁명적 육식주의자 동맹'이라는 이름만 봐서는 알 수 없는 집단의 핵심 멤버로 활동했다.
  • 오항녕 수유칼럼
    오항녕 in 수유칼럼 2013-12-17
    이 문제는 교학사 한국사교과서의 왜곡에서 시작되어 지금 더욱 논란을 부추키고 있는 사안이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13년 5월 10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1차 검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국편은 신청한 9종 교과서 가운데 8종의 합격을 발표하였는데, 거기에 교학사에서 펴낸 한국사 교과서(이하 교학사 교과서)가 끼어 있었다. 이어 8월 30일 최종적으로 8종의 교과서가 검정에 합격하였다.
  • mimyo
    송이 in 묘한 일기 2013-12-17
    하루 종일 힐을 신고 서 있어서 발이나 종아리가 퉁퉁 붓거나, 저녁에 라면을 먹고 자서 다음날 아침 눈이 부어 있는 것과 달리 정말 살이 찌는 것은 서서히 일어난다. 어지간히 예민하지 않고는 매일 얼굴을 보는 사이라면 어느 정도 체중이 불고 나서야 살이 쪘다는 것을 알지, 시시각각 몸이 불어나는 것을 느끼지는 못한다. 석류가 이런 식으로 통통하게 살이 올랐다.
  • 174th
    174호 (0)
    편집자 in Weekly 2013-12-17
    외할머니와 엄마가 그때 나눈 말들 숨(수유너머R) in 편집실에서 | 2013-12-17   신혼여행을 다녀온 후 친정에 인사차 들렀습니다. 생선회며 수육이며 한 상 그득 차려진 밥상을 앞에 두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엄마가 아빠를 가리키며 한탄을 합니다. “맨날 얼굴보면서 밥묵고 하면 뭐하노. 남편이란 사람은 알지도 못하고.” _ 더 보기
  • 신혼여행을 다녀온 후 친정에 인사차 들렀습니다. 생선회며 수육이며 한 상 그득 차려진 밥상을 앞에 두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엄마가 아빠를 가리키며 한탄을 합니다. “맨날 얼굴보면서 밥묵고 하면 뭐하노. 남편이란 사람은 알지도 못하고.”
  • 3
    사건이 발발했다.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윌슨이 자기 이론의 핵심이자 동의어라 할 수 있는 ‘혈연 선택’론과 ‘이기적 유전자’론을 버렸다. 『지구의 정복자』(사이언스북스)는 그 선전포고이자 출사표다. 우리도 알다시피 ‘이기적 유전자’론과 ‘혈연선택’론은 현재 생물학계를 지배하는 담론이다. ‘혈연 선택’론의 본명은 포괄적 적합도 이론으로서, 이것의 창시자는 윌리엄 해밀턴이고 그것을 초기부터 신봉하며 사회생물학을 창시한 이는 에드워드 윌슨이다.
  • 한국에 온 지 오래되었다 보니까 어느 정도 한국 생활에도 적응하게 되었는데, 적응한 것이 좋은 일인지는 잘 모르겠다. 내 주변에 있는 외국인 중에서도 상당히 한국어를 잘하고 그리고 한국의 문화에 적응하고 살아 있는 이들도 많으며 그러한 사람을 본 한국인들이 "아휴, 한국인이 다 되셨네 그려"라든가 하는 평가를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과연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것을 물어야 할 것이다.
  • MV5BNTMzMTQyOTUxMF5BMl5BanBnXkFtZTcwMzE5NDkxMQ@@__V1__SX640_SY720_
    한 여자가 피아노를 친다. 그녀는 쇼팽을 연주하고 있다. 시선은 불안정하게 악보와 건반을 오가고 박자 역시 엇나가는 것 같다. 뒤에는 다른 사람이 앉아서 그녀의 연주를 지켜보고 있다. 피아노를 치는 여자는 뒤에 있는 여자를 의식하면서 연주를 하고 있다. 그래서 그녀가 치는 선율은 무언가에 억눌려 있는 것 같고, 어쩐지 본래 실력보다 못하게 치는 것 같다. 뒤에 앉아 있는 깐깐해 보이는 여자의 눈에는 아주 잠깐 눈물이 고이려 하지만 이윽고 그녀는 눈을 감아 버린다.
  • Birmingham_campaign_dogs
    1963년 미국 버밍햄 시에서 인종 간 분리 정책은 전국에서 가장 악명 높은 것이었다. 흑인들은 백화점 가판대에서 파는 바나나 스플릿을 먹을 수 없었다. 그들은 백인 전용의 상점에 가는 순간 체포되기 때문이었다. 흑인들은 극장 안에서 항상 위층 발코니에 앉아야만 했다. 백인 의사들은 흑인 환자들의 이름을 알려 하지 않았고, 아무렇게나 ‘보’, ‘베시’라고 부르곤 했다. 길을 가다 백인경찰에게 검문을 당하는 날이면 총에 맞지는 않을까 숨죽여야 했다. 버밍햄 시에서 흑인은 시민이 될 수 없었다.
  • 최근에 수유너머에 몇 번 들락거릴 일이 있었다. 지나는 길에, 혹은 홍보물을 돌리러. 나는 길하마을(길고양이와 사람이 함께 하는 마을)이라는 꽤 낯간지러운 이름의 마을운동을 하는 사람이다. 고로 내 손에는 고양이 그림이 그려진 길하마을의 홍보물이 들려 있었다.
  • de2f893b-6f54-4216-9adc-53d7dd2a3128
    코끼리 관광, 이것은 코끼리를 이용해 트레킹을 하고 쇼를 보여 주는 코스가 포함되어 있는 동남아 관광 상품을 부르는 말입니다. 이미 여행사에서는 동남아 테마 여행으로 자리를 잡아 꽤나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직접 한 여행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테마 관광에 코끼리 트레킹이 포함된 상품이 있었습니다. 심지어 베스트 패키지 상품이었습니다.
  • Gallons of milk in the dairy products section can be seen on Display at a new Wal-Mart store in Chicago
    지난 주에 던진 마지막 질문에서부터 시작하자. 나에게 식량 문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즉 당신에게 먹고 사는 문제가 뭐냐는 것이다. 이런 질문을 받으면 흔히 물가 문제를 떠올린다. 소득 증가에 비해 물건값이 너무 빨리 오른다는 것 말이다. 물론 그거 참 문제는 문제다. 헌데 이 물가 문제라는 게 참으로 기묘하다. 물가가 비싼 것과 물가가 너무 싼 것이 모두 문제인 것이다. 물가가 너무 싼 게 문제라고?
  • jaguar_background_wallpaper-normal
    재규어의 특징은 강한 턱이다. 턱 힘이 굉장해서 일반적으로 사냥을 할 때는 먹이의 귀 사이를 물어 두개골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서 죽인다. 강한 턱을 이용해 360kg에 달하는 황소를 8m 정도 끌며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때로는 뼈를 이빨로 부수어 가루로 만들기도 한다.
  • black-baby-jaguar
    재규어 in 편집실에서 2013-12-10
    이번 동시대반시대는 동물에 대해 다뤄보았다. 도시에서 떠밀려서 또는 도시화된 동물들의 모습들을 보면서 약자인 동물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미국에서는 현재 180개의 법과대학원중 97개의 대학원이 동물권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윤리학, 철학의 한 과목으로 정기적으로 개설된다.
  • 한 달에 두 번 쓰기로 약속한 날은 원고를 보내고 돌아서면 와 있었다. 위클리 수유너머에 원고를 쓰기로 결정했을 때는 이 맘 저 맘 오만 마음 가지들을 붙들고 그래도 써보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에 용기를 냈다. 마감일에 받는 담당자의 전화는 반가운 마음과 미안한 마음과 멋쩍은 마음들이 뒤섞여서 웃음만 나온다.
  • 50131122193314
    활동가 인터뷰 시리즈 막바지에 이르러 새삼 우리의 친구, 맨발의 음악가 '단편선'을 만나기로 결정했다. 그의 독특한 위치 때문이었다. 현재 자립음악생산조합의 운영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는 한국 기본소득 운동의 초기부터 깊은 관심을 보여 온 사람으로, 꾸준히 관련 활동을 해왔다.
  • mimyo
    송이 in 묘한 일기 2013-12-10
    고양이와 산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는 이유는 주로 동생 때문이다. 동생은 생각해 본 적 없는 질문, 대답하기 힘든 질문을 한다. 가령 “누나는 고양이 똥 치울 때 석류 키운 거 후회되지 않아?” 같은 말을 툭 내뱉는다. 정말 궁금해서, 내가 진지하게 대답해 주길 바라고 묻는 게 아니라 고양이가 똥오줌을 싸면 냄새가 나니까 짜증이 나서 하는 말인데 나는 이 소리에 한참 고민을 한다.
  • 173th
    173호 (0)
    편집자 in Weekly 2013-12-10
    173호. 재규어를 사랑한 여인
  • 최요왕 in 수유칼럼 2013-12-01
    지난 추석에도 고향에 다녀왔다. 팔순 노모는 이번에도 이것저것 싸 주신다. 항상 팔 남매 모두에게 더 많이 싸 주지 못해서 안달이시다. 일곱째인 내가 고향 뜬 지가 28년이다. 큰형님이 출가한 40여년 전부터 그 오랜 세월 여덟 자식들에게 싸 주고 또 싸 주신다.
  • DollsHouse
    어둡고 답답한 현실이 길어질 때 사람들은 수난의 세월을 견딜 해석학적 장치를 만든다. 좋게 보자면 그것도 어떻게든 살아보려는 노력일 것이다(그것이 정말로 삶에 보탬이 되는지 와는 무관하게 말이다). 이 분야에서는 기독교가 특히 영리했는데, 그들은 수난을 심판 이후에 있을 보상과 연계시켰다.
  • 3 (2)
    옛날에는 자기보다 조금 더 먼저 산 사람들을 남녀불문하고 언니라 불렀다고 한다. 광명시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언니에게 한 수 배우다'(줄여서 '언한수')의 '언니'는 바로 그 뜻이다. 동생보다 조금 먼저 살았기에, 그 삶을 통해 조금 더 배운 것들을 동네의 동생들과 소소하게 나누기 시작한지 올해로 3년째다.
  • mimyo
    송이 in 묘한 일기 2013-12-01
    나는 대학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4층짜리 원룸 건물에 산다. 반지하가 1층이고, 무허가 간이 건물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주 건물에 붙어 있는 것 같지도 않은 옥탑까지 합쳐서 4층이다. 나는 2층에 살고 있다. 우리 집에 오려면 언덕을 올라와야 한다. 컨디션에 따라 다른데 그 어떤 날도 언덕을 오르는 일이 만만하지는 않다.
  • 면접 (1)
    신광호 in 편집실에서 2013-12-01
    위클리 편집진이 바빠졌습니다. 위클리와 관련해서 그렇다면 더욱 좋은 일이겠지만, 그렇지는 않고, 네 명의 편집진 각자에게 개인적이고도 중요한 일들이 생겼습니다.
  • 172_science
    172호 (0)
    편집자 in Weekly 2013-12-01
    172호. 면접
  • 5 가면7
    신지영 in 수유칼럼 2013-12-01
    때로는 거짓을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 최소한의 생존조건이 되는 그러한 때도 있다.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왜”라고 묻는 것이 차단된 그런 상태에서는 말이다. 이럴 때 진실이 아니라 거짓이 우리의 진실을 표현한다. 거짓에 가담하지 않으면서도 거짓이 보여주는 진실과 대면하는 건 얼마나 불가능한지...
  • 220px-Thomas_Malthus
    인구 문제나 식량 문제는 인류의 대표적인 근심거리 중 하나로 간주되곤 한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그런 문제 따위는 실재하지 않는다. 수많은 미디어에서 이 문제를 계속 떠들어대고, 사람들도 진심 어린 근심과 걱정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는 한다. 그렇지만 그건 지루한 이데올로기 드라마일 뿐이다.